오랜만에 글로벌 IT 네트워크(http://www.itglobal.or.kr)에 들렸더니,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했다.
Man-Machine Interface.... 간단히 생각하면 아주 쉬울 수 있고... 어렵게 생각하면 꼬임터널에 빠지는...
그런 UI의 과거, 현재, 미래를 간단하게 표로 작성되어 있었다.
참조용으로 스크랩해보았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o MIT에서 발간하는 Technology Review는 2009년 4월 6~9일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Computer-Human Interaction 2009(CHI 2009)*행사에 맞춰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과거, 현재 및 미래를 조망
* CHI는 2009년 27회를 맞이하는 컴퓨터와 인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국제학술 및 전시 행사임
< 컴퓨터-인간 간 인터페이스의 과거, 현재 그리고 미래 >
구 분 |
주요 내용 |
명령어 |
o 1950년대에 가장 효과적으로 컴퓨터를 제어하던 방법으로 이전에는 펀치 카드나 페이퍼 테이프를 통해 컴퓨터 입력 o 1980년대에 Graphic User Interface(GUI)가 등장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컴퓨터에 쉽게 접근 가능해 짐 |
마우스 |
o 1968년 더글라스 엥겔바트(Douglas Engelbart)가 개발 o 마우스는 현대 컴퓨터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GUI가 부상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 |
터치패드 |
o 트랙볼이나 조이스틱 같은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터치패드가 노트북을 o 대부분의 터치패드는 손가락의 축적 용량(Capacitance)에 의한 전기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서 작동 o 1953년 캐나다의 선구적인 전자음악가인 휴 르 캐인(Hugh Le Caine)이 |
다중터치 스크린 |
o 1983년 HP-150 컴퓨터에 처음 장착된 후 컴퓨터 사용 미숙자를 위해 o 애플의 아이폰에 사용되면서 부활하였으며 현재는 이동전화 등에 광범위 o 관련 기술에는 축적 센싱, 적외선, 표면 음성파 및 압력 센싱 등이 있음 |
제스처 센싱 |
o 기기의 움직임 추적(예 : 닌텐도의 Wii), 손이나 몸, 얼굴 등 신체의 |
힘 피드백 |
o 촉감을 조작하는 햅틱 기술에 기반 o 예로는 SensAble사의 PHANTOM이 있음 |
음성인식 |
o 음성인식이 아직 느리게 발전하고 부정확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o 이 기술은 제한된 언어상에서 그리고 시스템이 자신을 음성을 |
뇌-컴퓨터 인터 페이스 |
o 마인드 콘트롤로 작동되는 인간과 컴퓨터의 궁극적인 인터페이스 o 뇌 전도 센서기술을 이용해 전신마비 환자의 뇌 활동을 관찰하여 메시지 Computer Interface, BCI)에 기반 o 관련 회사로는 게임관련 헤드셋을 개발하는 Neurosky와 국방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Qinetiq가 있음 |
※ 세부 내용은 http://www.technologyreview.com/computing/22393/page1 참조
출처URL : http://www.technologyreview.com/computing/22393/page1/